top of page

[뮤캅스 리포트]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의 2분기 상장 현황 분석




[주요 시사점]


  • 25년 2분기 가상자산 시장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시가총액이 16% 증가한 상승세를 보임

  • 반면, 신규 상장된 가상자산의 평균 수익률은 -27.8%에 그쳤고, 1분기부터 이어진 저조한 수익률은 ‘상장 효과’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입증함

  • 빗썸은 공격적인 상장 및 마케팅 전략으로 2분기 동안 시장 점유율 7%를 끌어올리는 성과를 거두었음

  • 실질적으로 2분기 상장 효과는 투자자 수익보다는 거래소의 시장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효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할 수 있음

  •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 고수익 기대보다는 신중한 종목 선정과 투자 결정이 요구됨


상장효과? 1분기 이어 2분기도 마이너스 수익률



▣ 상승장 속 신규 상장 가상자산의 부진한 수익률, -27.8%



■ 글로벌 가상자산의 가격 상승 추세


  •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분기 동안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약3,930조 원에서 약4,560조 원으로 약 16% 상승하였습니다. 비트코인 상승률(18.3%)과 유사하며, 이더리움(24.1%)은 이보다 더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참조 : 코인마켓캡, Crypto Market Cap

  • 1분기 비트코인 가격이 -15%를 기록한 반면, 2분기 들어 가격이 반등했습니다. 이더리움(ETH) 또한 상승하였고, 이외에도 주요 알트코인 가격도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냈습니다.

  • 2분기 가격 상승의 원인은 ① 미국의 가상자산 친화적 정책 및 법제화(GENIUS Act), ② 한국의 디지털자산기본법 추진, ③ 가상자산 ETF에 대한 기관 자금 유입 증가와 유동성 증가 등이 있습니다. 시장의 호재가 가격 상승을 견인하였습니다.


신규 상장 가상자산의 저조한 -27.8% 수익률, ‘하이 리스크, 로우 리턴’ 구조로…


  • 글로벌 시장의 상승 추세와 대비되어 2분기 상장된 가상자산의 평균 수익률은 -27.8%로하며 저조한 기록을 면치 못했습니다. 상장가 대비 가격이 상승한 가상자산은 12건으로 전체 101건 중 11.88%에 불과합니다.

  • 1분기에 비트코인 하락율(-15%) 대비 신규 상장 가상자산의 하락폭(-30%)이 큰 수치에 대해 뮤캅스에서는 “신규 상장 알트코인의 시장 민감성과 불안정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하였습니다.※참조 : [국내 가상자산 원화 거래소의 1분기 상장 현황 분석], (뮤캅스, 25.04.15)

  • 그러나 2분기 전반적인 가격 상승 추세에서도 신규 상장된 가상자산의 평균 수익률이 -27.8%를 기록한 점은 신규 상장에 대한 분석의 관점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 과거에는 신규 상장되는 가상자산이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의 표상으로 단기간 고수익을 기대한 투자가 많이 유입되었습니다.

  • 25년 1분기와 2분기에 걸쳐 새롭게 상장된 가상자산의 수익률을 살펴본 결과 과거와 같은 고수익 효과는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려워지는 추세입니다. 이제는 ‘하이 리스크, 로우 리턴’의 추세가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신규 상장 가상자산의 투자가치는?


  • 가상자산 시장 전반의 시가총액 확대와 주요 종목(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진 반면, 신규 상장 가상자산의 수익률은 전반적으로 저조한 흐름을 보이며, 과거와 같은 상장 효과가 유의미하게 작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상장 직후 일시적 가격 급등 현상(이른바 ‘상장빔’)을 제외하면, 지속적인 가격 상승을 견인할 수 있는 구조적 동력이 결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신규 상장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 점차 약화되는 추세입니다.

  • 향후 이러한 수익 부진이 지속될 경우, 과거와 같이 검증되지 않은 프로젝트에 대한 무분별한 투자 수요는 급격히 축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는 시장 전반에서 고위험 자산에 대한 경계심이 강화되고 있으며, 투자자들이 보다 신중하고 가치 기반의 접근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투자 성향이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거래소별 상장 전략 차이 뚜렷, 성과도 달라



2분기 상장 현황 개요 : 빗썸과 코인원 주도의 신규 상장



  • 2분기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총 101건의 신규 상장이 이루어졌고, 중복 상장을 제외한 신규 가상자산은 총 82종입니다.

  • 신규 상장은 ▲업비트 18건 ▲빗썸 33건 ▲코빗 3건 ▲코인원 42건 ▲고팍스 5건입니다. 빗썸과 코인원이 2분기 신규 상장을 주도, 두 거래소에서 약 75% 신규상장이 이루어졌습니다.

  • 10건의 상장 폐지가 결정되었으며, 총 6종(HIFI, STMX, XEM, LOOM, WEMIX, ASM)의 가상자산이 상장폐지 되었습니다.

  • 위믹스(WEMIX), 스톰엑스(STMX), 어셈블 에이아이(ASM)는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차원에서 소명 미흡과 사업성 부족 등의 사유로 모든 거래소에서 거래 종료가 결정되었습니다.

  • 특히 위믹스(WEMIX)는 2022년 처음 상장폐지 되었습니다. 빗썸, 코빗, 코인원에서 재상장 되었다 25년 5월 2일에 재차 상장 폐지가 결정되었습니다. 한 차례 상장폐지된 위믹스를 재상장한 뒤, 다시 폐지하는 과정은 거래소의 상장 결정과 폐지에 대한 투명성 요구가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거래소 상장 전략 분석 : 뚜렷한 거래소별 상장 기조와 성과



  • 빗썸 : 공격적인 상장 정책, 시장 점유율 확대라는 성과

    • 빗썸은 24년 3분기부터 공격적인 신규 상장 기조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지난 분기 최대 상장을 기록하였고, 2분기에도 33건의 신규 상장을 기록했습니다.

    • 코스닥 상장(IPO)을 준비하고 있어 확장적인 신규 상장 기조와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6월 시장 점유율 확대에 성공하였습니다. 4월 23.3%에서 6월 30.6%를 기록하며 빗썸의 상장 정책이 효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업비트 : 보수적이지만 안정적인 가상자산 위주 상장

    • 업비트는 매 분기별 신규 상장 건수의 큰 변동이 없으며, 자체 신규 상장하는 가상자산은 국내의 타 거래소에서 상장되었거나 글로벌 시장에서 인지도 있는 가상자산을 상장해오고 있습니다.

    • 시장 점유율 70% 내외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나 빗썸의 시장 점유율 확대에 대응하여 3분기 기조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 코인원 : 신규 상장을 늘렸지만… 성과는 미비, 체질 개선 중…

    • 지난 1분기 대비 2배 이상 신규 상장을 늘리며 공격적인 상장 정책을 취했습니다. 그럼에도 2% 대에 머물고 있어 업비트와 빗썸의 아성을 넘보기 어려워 보입니다.

    • 7월 들어 인력을 감축하고 최저 수수료 정책으로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습니다.



 비정상적 거래 패턴 : 일시적으로 가격이 급등한 스테이블코인



  • 코인원에 6월 27일 상장된 스테이블코인 유에스디에스(USDS)에서 비정상적인 거래가 발생했습니다. 상장 후 3일 뒤인 6월 30일 20시 경, 1360원이던 가격이 181,600원으로 급격하게 치솟았습니다.


  • USDS는 달러 연동형 스테이블코인으로 가격은 1달러를 기준으로, 유동량 조절 등의 대응으로 가격을 유지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130배 이상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였습니다.

  • USDS가 상장된 다른 거래소의 차트 및 코인마켓캡 차트에 따르면, 동 기간 비정상적 패턴이 발생하지 않았고, 가격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참조 : 빗썸 (USDS/KRW) / 코인베이스(USDS/USD) / 코인마켓캡(USDS)

  • 코인원에서 발생한 비정상적 가격 체결은 일회적이고, 소량만 체결된 것으로 보입니다. 거래량이 급격하게 늘어나거나 거래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 일시적 급등 직후 가격은 다시 정상화되었고, 25년 7월 30일 기준으로 1,362원 가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결론 : 저조한 상장 효과, 투자해야 할까?


  • 25년 2분기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 5곳의 상장 현황을 분석한 결과, 거래소별 상장 전략에 명확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업비트는 보수적인 상장 기조를 유지한 반면, 빗썸은 공격적인 신규 상장을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꾀하는 등 각 거래소의 방향성이 분명히 구분되었습니다.

  • 특히 빗썸은 확장적인 상장 정책과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약 7% 끌어올려 30%를 초과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는 동일 기간 업비트의 점유율 하락과 맞물려, 3분기 내 업비트의 상장 전략 변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그러나 정작 투자자 관점에서 신규 상장의 실질적 투자 효과는 제한적이었습니다. 2분기 신규 상장된 가상자산의 평균 수익률은 -27.8%로 나타났으며, 전체 상장 종목 중 상장가 대비 수익을 낸 가상자산은 약 12%에 불과했습니다.

  • 대부분의 가상자산은 상장 직후 일시적 가격 상승(‘상장빔’) 이후 뚜렷한 가격 상승 모멘텀이 부재하였으며, 이는 투자자 손실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과거 신규 상장 가상자산에 기대되던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의 단기 수익 모델은 이제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며, 오히려 ‘하이 리스크, 로우 리턴’ 구조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결과적으로 2분기 신규 상장의 효과는 투자자 수익 관점보다는, 거래소의 점유율 확보 및 시장 경쟁력 강화라는 전략적 목적에 더 가까운 것으로 평가됩니다.

  • 이에 따라 향후 투자자는 개별 가상자산의 내재 가치뿐만 아니라, 거래소의 상장 정책 및 시장 환경 전반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신중한 투자 판단이 요구됩니다.

초이스뮤온오프로고-회색조_edited.png
​초이스뮤온오프 주식회사

Copyright ⓒ Choi's MU:onoff All Right Reserved.

​주소

(KR)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2길 12-14, 4층

대표번호

(tel) 02-6338-3005   (fax) 0504-161-5373

​사업자등록번호

340-87-02697

대표이사

최화인

bottom of page